난임연구

난소기능 및 폐경나이/AMH 수치 의미/산전검사

아러몰라 2023. 9. 8. 12:26
반응형

난소기능 및 폐경나이,  AMH 수치 의미를 미리 알고 있고있는 것과 모르는 것은 하늘과 땅차이라는 것을 너무 늦게알았다

늦은 결혼과 난임으로인해 시험관시술을 하면서 너무 무지하고 무신경했던 부분에 대해

저와같은 분들이 계실까봐 난소기능 및 폐경나이, AMH 수치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고자 합니다

 

난자는 여성의 생식기관인 난소에서 방출되는 단세포로 구형 또는 타원체로 되어있고

인체에서 가장 큰 세포이며, 지름 0.2mm로 정자보다 수십배나 크고 15만배나 더 무겁다고한다

 

난자는 태어날 때부터 이미 수가 정해져있으며,

성숙한 난자로의 배란을 통해 소진한다

생리 2-3일때부터 여러개의 난포가 자라지만, 배란을 통해 한개의 난자만이 정자를 만나 수정을 하고

난자는 24시간 살아있지만, 정자는 72시간 살아있다고하니 임신이 얼마나 축복인 것인지 새삼 경이롭다

임신이 되지 않았을때, 자궁내막이 호르몬의 분비 주기에 반응하여 저절로 탈락하여 떨어져나가면서 출혈과 함께 질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 생리(월경/menstruation)다

 

여자는 나이를 먹을 수록 난자의 수도 줄어들고, 건강한 난자가 나올 확률도 줄어든다 할 수 있다

초산의 경우에는 여자의 나이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시험관 반복 실패를 통해 뼈져리게 체감하고 있다.

이리하여 어른들이 남자들은 숟가락 들을 힘만 있어도 자식이 생긴다고 하였던가~

정자는 평생 머리카락처럼 새로 생긴다고 한다

신은 남녀의 신체를 왜이리 불공평하게 만든것인지 원망도 해보았지만, 한살이라도 어릴때 난자냉동해두었으면 도움이 되었으려나? 누가 미래를 알까요? 임신은 신의 영역이라는 생각이 자꾸 들면서 샤머니즘을 찾고...

주일에 교회가서 회개기도하고 불안정한 감정이 요동을 친다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요즘 아직 결혼계획이 없더라도 난소기능 및 폐경나이는 산부인과에서 AMH 검사를 통해 미리 알아두면 좋겠다

 

썸네일

AMH는 무엇인가?

AMH(항뮬러관 호르몬)은 여성의 난소 기능과 생식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검사다. AMH는 난자의 주머니인 난포에서 분비되며, 태어날 때 원시난포 형태로 약 2백만개 정도 가지고 태어나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수가 줄어든다. 이리하여 AMH 수치가 높다는 것은 난소에서 배란될 난포가 많다는 것이고, 낮다는 것은 배란될 난포가 없다는 것으로 폐경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AMH 수치의 의미

AMH수치는 20대는 4.0~5.0ng/mL, 35세 전 후로는 3.0ng/mL정도되며, 나이가 들어 폐경에 가까워 질수록 1ng/mL에 가까워진다. 일반적으로 0.5~1ng/mL은 폐경 이행기, 0.5ng/mL이하는 폐경으로 본다

 

AMH 수치가 낮다고 하여 임신이 절대적으로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나이가 많고 AMH 수치가 낮은 경우에는 임신 성공률이 낮아진다. 

개인소견으로는 AMH수치가 낮더라도 나이가 깡패라고, 실제 나이가 어리면 시험관 시도하는 경우 임신확률이 고령난저(난소기능저하, 난포가 별로 없다는 말이다 TT)보다는 월등히 높은 것 같다. AMH 수치가 당장 높다고 안심할 수가 없는게 35세이후로는 수직으로 숫자가 떨어지기때문에 이래서 35세 정도 지나면 노산이라고 하는 것같기도하고 

일년 하루하루 다르게 훅훅 떨어지는 수치를 보면서 마음이 조급해진다

AMH 수치가 너무 높은 경우

AMH 수치는 난자의 수를 의미할 뿐 질을 좌우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수치가 높을 경우 문제가 된기도 한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여성은 각 연령대에서 예상한 값보다 AMH가 높게 측정되며, 6~74ng/mL이상이면 초음파 검사 없이도 질환을 의심해 볼 수는 있다.

* 다낭성 증후군이란 월경이 불규칙하거나 또는 무월경, 종종 비만 또는 높은 남성 호르몬(안드로겐)수치로 인한 증상 등이 있다

보건소 산전검사

대상 : 해당 보건소 관내 주민등록 임산부 및 예비 임산부

내용 : 혈액검사 : 풍진 항원/항체. 빈혈(CBC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헤마토크리트, 헤모글로빈), 혈액형, 간기능(AST/ALT), 신장 기능(요소질소, 크레아티닌), 혈당, 매독, B형간염 항원/항체, HIV(에이즈)항체 등, 소변검사(PH, 요잠혈, 요담백, 요당 등), 흉부X선 검사, 결핵

준비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임신한 경우 산모수첩, 결혼 전인 예비 임산부의 경우 혼인관계 증빙서류(청첩장, 예식장 계약서 등)

* 산전검사 내용은 각 시, 군, 구 보건소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관내 보건소에서 모자보건사업으로 무료 산전검사를 하는지 확인 후 상기 서류를 준비하여 해당 보건소를 방문한다

임산부 등록을 위해 신청서를 작성(임산부 등록하면 임신 주수에 따라 산전검사뿐 아니라 기형아 검사, 엽산제 및 철분제 지급, 출산 교육 등도 받는다)하고, 약 일주일 뒤 공공보건포털사이트(https://www.g-health.kr)내 통합검사결과조회->산전검사결과 조회 메뉴에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검사 결과 확인을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

 

이상 난소기능 및 폐경나이 검사 AMH 수치의 의미, 산전검사에 대해 알아보았고, 앞으로는 시험관을 준비하면서 먹고있는 영양제에 대해 정보를 나눠보고자 해요. 임신을 준비하는 모든 여성들이 임신이 되었으면 좋겠고 이거 웬지 출산하면 지나가는 모든 얘기들이 아름답게 보인다던데 그런느낌이 이런거 아닐까 싶네요

제가 겪은 경험과 컨텐츠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반응형